작성자관리자
작성일2025.01.06
조회수706
▶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성과 인정 기준 및 증빙자료
성과항목 |
증빙자료 |
인정기준 및 검증항목 |
|
특허 |
* 2025년 출원·등록된 과제정보가 서지사항에 기입된 특허만 실적 인정, 반드시 ‘2025년 출원·등록 여부’와 ‘과제정보(서지사항)’를 모두 확인 후 제출 (특허등록의 경우, ‘특허증’ 뿐 아니라 ‘특허등록공보’도 반드시 제출) |
||
성과표기 |
【과제고유번호】 2710008175 *과제고유번호는 매년 새로 부여됨 【부 처 명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【연구관리전문기관】 정보통신기획평가원 【연구사업명】 인공지능반도체고급인재양성 【연구과제명】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(한국과학기술원) 【기 여 율】 * 하나의 특허가 둘 이상의 과제에서 지원된 경우 각 과제별 기여율을 입력 【주관기관】 한국과학기술원 【연구기간】 2023 7. 1. ∼ 2028. 12. 31. |
||
국내 출원 |
특허번호통지서+특허출원서, 특허출원공보, 전자출원접수증 등 |
특허정보원 DB와 확인 발명의 명칭과 발명인, 출원(등록)번호 일치해야 인정, 특허소유권자는 주관연구개발기관 단독 소유(개인소유 불인정) |
|
국내 등록 |
특허등록증, 특허등록공보 |
||
국외 출원 |
특허번호통지서, 특허출원공보 |
||
국외 등록 |
특허등록증, 특허등록공보, 특허등록결정서 등 |
||
논문 |
* 2025년에 게재된 ACK 있는 논문만 실적 인정, 반드시 ‘2025년 게재논문 여부’ 및 ‘ACK 여부’ 확인 후 제출요망 * 논문 실적은 AI대학원 지원사업 Acknowledgment(단독, 공동) 있는 것만 기재, 공동 ACK의 경우에도 1건으로 계산하여 기재 (1/N rule을 적용할 필요 없음) * SCI 논문수 계산 시 참여연구원 여러명이 공동으로 게재한 경우 1건으로 계산 * 논문이 accept/submit된 증빙자료는 성과 미인정. 반드시 published/available online 논문만 인정 * 출판일자/발표일자가 미정인 경우 성과 인정 불가능, 출판일자/발표일자가 내년으로 미루어진 경우, 당해연도가 아닌 차년도 성과로 집계 |
||
사사 표기 문구 |
[국문표기]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인공지능반도체고급인재양성사업 연구 결과로 수행되었음(IITP-2025-RS-2023-00256472) |
||
[영문표기]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stitute of Information & communications Technology Planning & Evaluation (IITP) under the Graduate School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miconductor(IITP-2025-RS-2023-00256472)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(MSIT) |
|||
SCI(E) |
톰슨요약문 or Web of Science, JCR 캡처본 |
톰슨 DB 등 확인 논문의 출판/발표 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 |
|
비SCI |
출판/발표일자, 저자, 사사 등 확인할 수 있는 자료 |
||
표준화 |
표준안 채택 |
표준화 제안서 or 표준화 단계 인증 가능한 자료 |
당해연도, 연구책임자, 소속 확인 |
SW등록 |
SW등록 |
SW등록증(저작권 등록증, 소프트웨어 등록증 등) |
세부내역 SW명칭과 제출한 등록증의 명칭, 일치 여부 확인 |
산학공동 |
AI 융합 프로젝트 |
산학공동 프로젝트별 워크북 또는 협약서 등 |
- |
인력양성 |
* 수혜인력 : 직위 및 과정이 2개 이상 중복되는 경우 최종학위로 인정 (예시. A학생이 ‘25. 8월까지 석사과정으로 참여 → 9월 이후 박사과정으로 참여했다면, ’25년 박사과정 수혜인원으로 인정, 중복체크X) * 배출인력 ① 석박통합과정은 박사 졸업으로 인정하여 재학증명서/재적증명서/성적증명서 등 확인 ② 취업/진학의 경우 사업연도별 졸업 시점까지 성과 인정 (예. ‘25.2월까지 취업/진학 증빙가능한 인원은 ’25년 성과로 인정, 3월부터는 ‘26년 성과) ③ 박사후과정(Post-doc)은 ’취업‘ 실적으로 인정 |
||
수혜 인력 |
성과 세부내역 엑셀파일 |
사업연도별 인건비계상률, 미지급인건비계상률 산정을 통해 수혜를 받은 모든 참여인력 * 해당 인력은 IRIS에 반드시 모두 등록 必 |
|
배출 인력 |
(졸업, 취업) - 공통 : 학위수여(예정)증명서 또는 졸업증명서 - 취업 : 재직증명서 (4대보험가입확인서, 합격증 등) - 진학 : 입학통지서 또는 재학증명서 |
과제 전체 수행기간의 6개월 이상 참여한 수혜학생 중 졸업한 인력 |
|
만족도 조사 |
참여학생 및 기업체 설문지 등 관련 문서 |
||
인턴십 |
인턴쉽 결과보고 자료(프로그램 참여확인서) 등 관련 문서 |
- |
|
교재 개발 |
교재 표지 스캔본(동영상은 캡쳐), 교재 Full Version(출력본 또는 전자파일(pdf), 동영상 파일), 동사업 수행 결과임을 기재한 사사문구가 들어가 있는 부분 캡쳐본 |
참여교원이 주저자 또는 공동저자로 개발한 교재 ISBN 등록번호 또는 기타 별도 책자로(단순교안 제외)제작된 교재 |
|
경제적 성과 |
* 기술이전 계약서에 과제 사사(ACK) 포함, 누락 시 해당 건에 대한 본 연구의 성과임을 확인하는 산학협력단 확인 공문 제출 * 당해연도 징수액이 무상인 경우, 입금증이 없어도 성과로 인정함 * 당해연도 징수액과 입금내역 불일치시 당해연도 입금액만 인정 |
||
기술 이전 |
계약서(기술자문계약서 포함), 기술료 입금증 |
사업연도별 징수액과 입금증 금액(VAT포함) |
|
성과표기 이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인공지능반도체고급인재양성사업 연구 결과로 개발한 결과물입니다. |
|||
창업 |
사업자 등록증 |
사업자 등록일자가 사업연도와 일치하는 경우 인정 |
문의사항 : aisemi@kaist.ac.kr